본문 바로가기
Web

테스트 의존성/ 종류 및 처리 정리

by dharana7723 2024. 1. 10.

테스트가 디비 의존성이 필요할때

Mock을 쓰냐, 쓰는데 어떤 식으로 쓰느냐

Validation 같은 경우, 가장 저비용이므로 그냥 씀

reviewRepo

 

통합 테스트 <- 환경옵션 여러가지

H2 인메모리 디비 <- 기본적인 jpa 동작이나, 가벼웠으면 좋겠는데?

 

Action/ Jenkins 같은 배포툴을 돌려주는 것

 

실제 디비를 구축

개발계 디비에다가 테스트 스키마 생성

 

테스트 코드가 테스트 스키마를 바라보도록

< 할수 있죠

테스트 스키마를 누가관리하냐

 

A가 배포하려고 준비중

B가 피쳐 개발하다가 테스트를 수정했음

A가 배포하다가 테스트가 깨짐 근데 로직상 버그가 아니라 테스트 스키마 때문

 

이런 비용과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음(실 개발계디비로 테스트시)

 

testcontainers.com 같은것도 있음

 

배호하는 시점에 네트워크가 흔들림

 

Mock 속도: 최상

 

H2 속도: 상 

 

TestContainer 속도: 중, 관리: 편함

 

read-DB 속도: 상..? 관리: 불편함

 

결국엔 다해야 된다 생각함

 

쌓이고 쌓이면 결국엔 피쳐 개발할때 두려움이 없어짐

 

간단한 취향으로

Grade - verification - test

만들어서 쓰는 편이긴 한데

돌릴때 기준은 wifi를 끄더라도 돌아야 한다

(네트워크 끊어져도 되면 좋겠다) 가령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개발을 하더라도

비행기에서 개발을 해야하는데 테스트가 안돌아요,? 그럼 좀 그렇죠

자면서 가도 되긴 하는데

 

리소스와 여러가지 생각해서 어떤 트레이드 오프를 가져갈지 결정